언론에 비춰진 임준택 수협회장 ‘경제사업 혁신’
언론에 비춰진 임준택 수협회장 ‘경제사업 혁신’
  • 김병곤
  • 승인 2020.04.01 21:04
  • 호수 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력 일간지 등 40여개 매체 취임 1주년 조명
수산물 유통 구조 개선으로 생산자와 소비자 상생 강조
낚시 면허제 도입해 ‘상업형 낚시’ 적절히 규제 해야

‘수협 경제사업 혁신’을 화두로 던지며 수협중앙회장에 당선된 임준택 회장이 취임 1년을 맞았다. 취임 1주년을 맞은 임 회장에 대해 유력 일간지와 인터넷 매체 40여곳에서 지난 3월 9일부터 24일까지 일제히 인터뷰를 실었다. 언론에 비춰진 임 회장은 ‘경제사업 혁신’에 초점이 맞춰졌다. 주요 언론에 실린 인터뷰 내용들을 추적한다. 

 

우선 한국경제신문은 지난 3월17일 A13면에 “코로나로 수산물 값 폭락해도 소매가 그대로…유통구조 개혁할 것”이라는 제목으로 지면 절반을 인터뷰로 할애했다. 

인터뷰에서 임 회장은 “현재 수산물 유통 구조에선 소비자가 저렴하게 구입하고 생산자는 제값을 받기 어렵다”며 “수산물 거래 체계를 경매 중심으로 확 바꾸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어시장 거래의 절반 이상이 정가 수의매매 방식으로 이뤄지면서 유통 비용이 수산물 값의 51.8%에 달하는 기형적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

현재 코로나19로 수산물이 팔리지 않는다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호소하기도 했다. 

유통제도 개선방안도 확고했다. 더 많은 어업인과 상인이 ‘경매가 돈이 된다’는 사실을 알게 하자고 말했다. 그래야 물고기가 많이 잡히면 소비자들이 싸게 먹고 적게 잡힐 때는 어민들이 제값을 받고 처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한 현실화되고 있는 자원 고갈을 우려하며 어업인들은 일정기간 조업을 중단하는 ‘휴어제’ 등 현실적인 대안을 만들고 있는 만큼 정부 역시 다른 선진국처럼 ‘상업형 낚시’를 일부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낚시 면허제를 도입해 낚시객들을 적절히 규제하자고 제안했다. 

 

내일신문은 지난 9일 “국민과 어민에게 더 많은 이익 줘야” 라는 제목과 ‘경제사업 혁신 본격화…안전한 조업환경 구축도 핵심과제’라는 부제로 17면에 인터뷰를 게재했다. 

1년간의 성과에 대해 소득세제 개편을 통한 어업인에게 비과세 혜택을 확대, 수협 상호금융의 예금자보호기금 적립방식 목표기금제로 전환, 경제사업이 2018년 적자에서 지난해 25억원 흑자로 전환, 수협은행도 2853억원의 세전 순이익 등을 꼽았다. 

특히 3년을 끌어왔던 노량진수산시장 구시장에 대한 명도집행이 마무리되고 본격적인 철거단계에 진입하게 된 것도 전환점이 됐고 옛 노량진시장터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수산문화 체험관광지로 개발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소회를 피력했다. 

임 회장은 특히 3년동안 평균 어획량이 100만톤을 넘지 못하고 있다며 바다환경 파괴, 중국어선의 불법조업과 북한수역 싹쓸이조업 등을 어자원 감소 원인으로 꼽았다.

그리고 수산업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선 바다가 갖고 있는 자원회복능력을 극대화하고 휴어제 확대와 어선 감척 등으로 어획강도를 낮춰야 하며 양식어업도 집중 육성하고 ‘총허용어획량(TAC)’ 제도도 자원관리가 돼야 실효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공적자금 조기상환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중앙회가 공적자금 빨리 갚고 회원조합을 도와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공적자금 상환 때까지 법인세를 유예해 주면 빨리 갚을 수 있다며 관련 법 개정을 위해 국회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일보도 3월24일자에 “어촌경제 고사 직전… 수산물 제값 받도록 유통 혁신”이라는 제목으로 인터뷰를 실었다. 이 기사에서 임 회장은 어업인들이 바다에서 목숨을 담보로 걷어 올린 수산물이 제값을 받도록 해서 그들이 걱정 없이 생업을 이어갈 수 있게 하는게 수협 본연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수협이 역점 사업으로 추진 중인 수산물 유통체계의 혁신과 관련, 임 회장은 “유통기반 시설의 현대화를 통한 하드웨어 강화와 동시에 기존 도매시장 거래체계를 바꾸는 소프트웨어 혁신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임 회장은 “어업인도 소비자도 모두 불만을 토로하는 것이 현재 수산물 유통의 현실로, 양측의 인내심도 임계치에 달했다”며 “가격결정과 유통비용에 투명성이 떨어지면서 시장 주도권이 자본력과 유통망을 갖춘 일부에게 집중되고 수산물 유통에 대한 불신이 확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수협은 경매 확대 및 정가 수의매매의 축소, 도매시장의 실질 경매 중심으로의 전환 등을 중점 추진 중이다고 밝혔다.

주간조선도 최근 발행한 2601호에 “제값 받고 파는 유통 환경 조성할 것”이라는 제목으로 취임 1주년을 조명했다. 임 회장은 인터뷰에서 어촌과 수산업에 젊은층의 유입이 줄고 있는 것이 한국 수산업의 미래를 위협하는 문제로 꼽았다. 수산업종사자 인구구조가 역피라미드 현상이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젊은 층이 수산업 종사를 기피하는 핵심 원인에는 수산업이 위험하고 돈벌이는 안 된다는 편견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수협중앙회는 안전한 조업 환경 구축을 핵심과제로 삼아 인명피해 제로화 프로젝트 연구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밖에 여러 매체에서 임 회장의 기사들이 노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