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산업의 새로운 소득원 관상어 ‘주목’
양식산업의 새로운 소득원 관상어 ‘주목’
  • 수협중앙회
  • 승인 2010.09.08 21:19
  • 호수 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산과학원, 관상어 사육기술 개발과 보급

2020년 연간 6000억원 시장 규모로 육성

양식산업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관상어 양식에 대한 지원이 대폭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연근해가 꾸준한 수온 상승으로 아열대 해역으로 변해가면서 계절, 절기, 조석 등에 따른 바다 상태의 예측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이는 양식업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경영 불안정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국립수산과학원은 ‘위기를 기회’로 만들고자 관상어(Aqua-Pet) 산업이 양식산업의 새로운 소득창출원이 될 수 있도록 관상어 양식기술을 적극 개발, 보급해 현재 3000억원 대로 추정되는 관상어 시장규모를 2020년까지 연 6000억원 이상으로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그동안 관상어 산업은 우수한 종자와 품종 관리에 소홀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종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뤄지지 못했고 질병예방기술 도입에 실패하는 등 시장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미국, 일본, 대만, 싱가폴과 더불어 세계 5위권 수준의 해수관상생물 양식기술을 보유한 국립수산과학원은 침체기에 빠져 있는 관상어시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2010년 4억5000만원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비를 투입해 기술개발에 전력투구할 계획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은 민물고기의 경우 묵납자루, 잔가시고기 등 14개 토속 어종에 대해서, 해수관상어는 파랑돔 3종, 해마 2종 등 모두 5종의 인공양식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연간 시장 규모는 100억 정도로 추정되는 파랑돔류 3종의 인공번식기술은 세계에서 처음 개발했다. 연간 1000억 정도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되는 빅벨리해마의 양식기술은 호주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2010년 7월 개발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은 최근 관상생물로 각광받고 있는 형광관상생물 시장 확대를 위해 우리나라에만 유일하게 서식하는 담수고유자원들의 산업화를 위한 형질전환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형질전환기법을 통해 고전적인 품종 육성 방법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형광형질을 가진 관상생물을 개발할 경우 새로운 시장 형성으로 조기에 관상생물시장 배증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대만은 형질전화 관상생물 개발착수후 7년만에 형질전환형광 Convict cichlids와 Angelfish 생산 성공으로 field test 후 2012년 시판 예정이며 약 720억원의 경제적 효과 창출이 예상된다.

우리나라는 2010년 7월 부경대 김동수 교수팀이 내분비장애물질 등 환경 오염원에 대해 작동하는 환경지표용 ‘형광송사리’를 개발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해수관상어의 수입 대체효과를 거두고 수출전략종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인공번식기술을 어업인들에게 적극 보급할 계획이다.

현재까지의 대어업인 기술지원 형태가 아닌 전문교육 등을 거쳐 종자 보존 등 철저한 관리가 이뤄져 대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위주로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수입열대어에 편중돼 있는 담수관상어 시장에서 토속어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국립수산과학원이 보유한 토속민물고기 홍보와 인공번식기술 보급도 병행할 계획이다. 국내 관상어 거래량은 담수열대어 70%, 잉어류 10%, 해수어 20% 등이다.

이와 함께 넙치육종에 활용되는 육종시스템을 도입해 우수한 관상어 품종의 종자 보급과 관리를 실현하고 체계적인 질병관리 체제를 확보해 수산관상어 양식업을 양식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착시킬 계획이다.

관상어 시장동향

관상어 시장은 중국, 싱가폴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관상어 시장은 크게 해수관상어와 담수관상어로 나뉜다. 우리나라 관상어 시장규모는 연간 3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이 중 담수관상어 시장점유율은 80%(2400억원)로, 해수관상어 시장점유율은 20%(600억원)로 추정된다.

양식에 필요한 기자재는 수조, 전기재료, 사료, 약품 등을 포함하며 해수관상어의 무척추동물은 산호, 말미잘이 주요 대상이다. 담수관상어의 기타동물은 거북이, 새우, 가재 등이 있으며 해수관상어 시장에서 소요되는 생물은 거의 외국에서 수입(한국해수관상어종묘센터에서 생산되는 흰동가리돔은 제외)한다.

외국의 관상생물 양식연구와 산업화 사례를 보면 ORA(미국 플로리다주, Ocean Reefs & Aquariums)는 관상어 연구와 산업화 출발시점에서는 정부출연기관이었으며 정부출연기관의 제도권 내에서 수익사업을 시작했다.

현재는 민간기업으로 완전 전환, 박사급 연구원15명 정도로 운영되고 있다. 북미와 유럽의 인공산 해수관상어 흰동가리돔류 양식과 판매 독점을 하고 있으며 미국 전체 해수관상어류 생산 규모의 약 80% 점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관상어 시장 규모 분석 자료(업계 종사자 설문 작성자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