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적 수산자원관리의 성공은 …
자율적 수산자원관리의 성공은 …
  • 이명수
  • 승인 2016.05.26 19:42
  • 호수 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산업은 다양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본원적 기능으로 수산물의 안정적 생산과 안전한 수산물 공급, 지속가능한 수산자원관리가 있다.

다원적 기능으로 어업인 삶의 터전과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해양국토방위, 자연보존과 연안수역 관리, 국토의 균형적 이용 등 실로 다양하다.

이 가운데 수산업 기능의 핵심은 인류에게 먹거리를 제공하는 게 단연 으뜸이다. 미래 식량자원으로써 ‘물고기가 없었으면 유럽의 역사가 달라졌다’는 인류학자가 있을 정도로 수산물의 가치는 가히 최고의 수준이다. 의학적, 영양학적, 산업적으로 어느 것 하나에도 빠지지 않는다.   

이같은 고부가가치의 수산물이 더 이상 우리에게 공급되지 않는다면 상상만 해도 끔찍할 노릇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 앞에 이 상상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듯하다.

‘물 반 고기 반’, ‘동·서·남해 지천(至賤)으로 깔렸다’는 표현을 쓰기 매우 껄끄러울 정도로 수산자원은 대위기다.     

수산자원의 고갈은 어업인들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다. 이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거나 실기하면 바다와 사람이 한꺼번에 사지(死地)로 내몰리게 된다.

시의적절(時宜適切)하게 어업인 스스로가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논의의 장을 마련해 주목된다.     
    
지난 23일 출범한 업종별수협 협의회가 자율적 수산자원관리와 보호에 적극 나서겠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20개 업종별수협이 참여한 이날 협의회는 어업인들의 수산자원관리 인식 전환과 수협이 관리방안을 주도적으로 마련해 전국적인 확산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협의회는 스스로 휴어기를 정해 조업을 멈추고, 수산종묘를 방류하는 등 수산자원관리와 보호에 나서는 책무를 다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업종별로 논의와 토론의 과정을 거쳐 마련된 수산자원관리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제도화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수산업을 실현하자고 선언했다. 후대에 풍요로운 바다를 물려주자는 시대적 사명감이란 의지도 더했다.       

협의회는 궁극적으로 지구별 수협 뿐만 아니라 전국의 어업인과 함께 수산자원관리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특정의 이익을 배제하자는데도 동의했다.

사실 자율적 수산자원관리 시스템 구축은 첫 번째 공약(公約)인 수협법 개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낸 김임권 수협중앙회장의 또다른 공약이다.

어업인 스스로가 수산자원을 관리하고 보호하지 않으면 미래의 수산업은 없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됐다.

김 회장은 “어업인들이 공감하는 자율적 수산자원관리 방안이 마련되면 예산확보와 제도 개선 등 국회와 정부에 대한 어정활동에 혼신을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이제 자율적 수산자원관리가 어업인들로부터 발진(發進)됐다.

정부는 이를 전격 수용하고 현실적인 방안이 무엇인지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  

수산자원관리 정책은 이론이나 탁상에서 결코 이뤄질 수 없다. 반드시 현장이 따라붙어야 한다.

수산현장은 정책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잣대이기 때문이다. 업종이나 어업인 사이 입장이 달라도 분명 해법을 찾을 수 있다. 수산자원관리의 성공 여부를 가름하는 기준이 된다.

어업인들이 스스로 자원을 관리하고 보호하겠다는데 정부가 반대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함께 후손에게 풍요로운 자원을 물려줄 전향적인 자세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