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이력제, 소비촉매제 돼야
수산물이력제, 소비촉매제 돼야
  • 이명수
  • 승인 2015.05.14 12:36
  • 호수 29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년 3월 11일 터진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우리 수산물 소비에 직격탄을 날렸다.

사고 발생 이후 일본 후쿠시마 인근 8개현의 모든 수산물은 수입이 금지됐다. 아울러 관세청이 2009년 1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수입물품유통이력관리제에 냉동 고등어·냉동 갈치를 비롯 명태·돔·가리비 등 대중적으로 수입되는 일본산 수산물을 포함시켜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은 일본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우려를 떨치지 못하고 있어 아직도 소비부진의 여파를 배제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중국산 수산물에 대한 안전문제도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나아지곤 있지만 과거 경험상 불안한 중국산 수산물 위생은 늘상 도마 위에 올랐었다.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개방화가 가속화될수록 수산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폭될 것이 확실하다.

향후 수산물 안전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수산물 안전관리 행정 일원화, 수입 수산물 관리 강화 및 시스템 보강 등 체계적인 관리 방안이 재정립돼야 한다.

해양수산부가 지난 12일 수협과 농협, 대형 유통업체와 함께 ‘수산물이력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식’을 가진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들 단체와 업체를 수산물이력제의 중심에 끌어들여 기존의 생산이력제를 개선함으로써 제도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제도 활성화의 전초전으로 수산물이력제 담당 부서를 종전 어촌양식정책과에서 올해부터 유통정책과로 이관했다. 이력제를 수산물 소비 축에 더 근접토록 해 이 제도가 궁극적으로 수산물 소비확대로까지 이어지게 한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수산물 소비촉진 프로젝트인 ‘어식백세’에다 ‘수산물이력제’까지 떠안은 부서야 고달프겠지만 방향은 틀리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그동안 수산물이력제가 참여율과 적용품목 저조, 홍보 부족 등 제도 시행에 많은 의구심을 불러일으켜 왔던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제도의 실효성 논란을 잠재워야 한다.

이번 체결식을 계기로 수산물 안전과 소비촉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다잡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력제 시행에 있어 소비자들의 수산물 소비패턴이 급변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해야 한다. 과거 원물 상태의 수산물에 익숙했던 것과는 달리 다양한 기호의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1·2인 가구나 젊은 층의 소비자들은 간편식의 수산식품을 찾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오염되지 않은 수산물이 위생적인 과정을 거쳐 제품화돼 식탁에 올려져야 한다는 안전의식이 매우 높아졌고 검증 시스템을 통한 알 권리도 주장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수용하지 않으면 정부가 야심차게 진행하고 있는 ‘어식백세(魚食百歲) 국민건강 캠페인’은 공염불(空念佛)에 그칠 수 있다. 이력제 역시 활성화될 수 없다.  

현재까지도 적잖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이력제이지만 정부의 개선 의지가 돋보여 정착 가능성을  높게 점쳐보고 싶다.

2008년 수산물이력제 도입 당시 많은 소비자를 모아놓고 가진 시연회에서 운영시스템 미작동 탓에 공개적으로 망신당한 해프닝(happening)이 더 이상 나오지 않는 이력제의 미래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