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몰선박 인양 절박…어업피해 노출
침몰선박 인양 절박…어업피해 노출
  • 수협중앙회
  • 승인 2014.08.28 11:45
  • 호수 2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해역에 총 2038척 방치돼 2차 오염사고 때 큰 ‘파장’

데이터 체계적 관리, 지속가능 수산산업위해 절실

해양사고로 침몰된 선박들의 인양이 절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걸쳐 침몰선박의 수는 총 2038척으로 동·서·남해에 각각 425척(20.9%), 751척(36.8%), 862척(42.3%)이 분포되어 있으며 100톤 미만 선박이 88%, 어선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이들 침몰선박들에 대해 정부나 해양경찰청, 지방자치단체 등의 관리가 소홀할 뿐만 아니라 침몰선에 적재된 유해물 관리 등에 대해서는  어업인들이나 수협과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

현재 침몰선에는 사고당시 유출되지 않고 침몰선박에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잔존기름’을 비롯해 유성혼합물과 폐유 등 유해물질들이 다량으로 실려있어 2차 해양오염으로 인한 피해에 회원조합과 어업인들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지난 1983년 이전의 침몰선 데이터가 구축돼 있지 않고 이후 발생된 침몰선에 대해서도 어업인과 회원조합에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아 이들 침몰선박들에서 유해물질이 유출되기라도 한다면 큰 파장이 일 것으로 우려된다. 

해양수산부가 뒤늦게 이러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최근 우리나라 해역에 침몰해있는 선박들의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하는 관리 사업을 추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업을 통해 침몰선박 정보의 체계적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침몰선박의 잔존기름 유출가능성, 해역환경민감도 등 위해도(危害度)를 평가해 이 결과를 토대로 집중관리대상으로 선정된 선박에 대해 선체인양, 잔존유 회수 등 위해도 저감대책을 수립해 실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해양환경관리공단에서는 우선적으로 해양과학기술원, 해양경찰청, 해양안전심판원 등 여러 기관에 분산된 침몰선박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DB 시스템을 구축하는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실제로 기상악화로 침몰한 후 23년이 지난 유조선 경신호에서 2011년 잔존유가 유출되는 2차 오염사고가 발생, 634㎘의 잔존유를 제거한 사례가 있다. 정확한 침몰선박 데이터를 구축해 관리하면  2차 해양오염사고를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침몰선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관리방안 마련과 함께 어업인, 일선 수협, 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등 민간인들의 참여가 우선돼야 한다는 여론이다. 침몰선의 2차 피해는 고스란히 어업인들을 비롯해 일선 수협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장이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침몰선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신속한 처리 등이 지속 가능한 수산산업을 위해서는 중요한 사안임을 인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