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의 미래산업화 위한 ‘수산단체 통합협의체’구성 필요성 대두
수산의 미래산업화 위한 ‘수산단체 통합협의체’구성 필요성 대두
  • 수협중앙회
  • 승인 2013.03.21 13:50
  • 호수 18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영수 부경대 수산과학대학장, 수협 중심 ‘대한민국수산산업총연합회(가칭)’ 구성 제안

박근혜 정부가 수산부문 국정과제로 ‘수산의 미래산업화’를 제시한 가운데 정책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전국 수산단체의 통합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대두됐다.

장영수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장은 지난 15일 매일경제신문에 ‘수산업 경쟁력을 키우자’는 기고문을 통해 “(각종 수산단체간) 상호 지원하고 협력할 수 있는 단체가 만들어져야 수산산업의 통합적 정책들이 효과적으로 개발될 수 있고 대내외적으로 수산산업 위상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위해 수산물 생산자 대표단체인 수협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수산산업총연합회(가칭)’를 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수산업계와 수협 내부에서도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수협을 중심으로 ‘전국 수산인 한마음 전진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러낸 경험이 장영수 학장의 제안에 설득력을 더해주고 있다는 여론이다.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8000여명의 수산인들이 서울광장에 모여 한 목소리를 낸 덕분에 해양수산부 신설과 다양한 수산정책들이 입안되는 계기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새 정부 출범 전후로 7대 수산정책과제를 정부에 지속 건의하는 등 수산계 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적 행보를 이어온 수협도 범수산계 통합단체 필요성을 절감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협 관계자는 “수산인구가 70만에 가깝지만, 전체 인구에 대비하면 1% 남짓한 소수 집단”이라고 지적하고 “수산인들의 권익 향상과 수산업 발전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모두가 한뜻으로 결집해야 할 당위성이 있다”며 장영수 학장의 제안 취지에 동의의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수협 내부적으로도 범수산계 통합단체 구성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다음은 장영수 부경대 수산과학대학장이 매일경제신문에 기고한 글의 전문이다.


매일경제 3월 15일자 ㅣ 39면 오피니언

수산업 경쟁력을 키우자

기고 - 장영수 부경대 수산과학대학장


새 정부가 출범했고 해양수산부가 마침내 부활했다. 우리나라는 국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만큼 수산업 분야에서 얼마든지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력과 역량도 충분하다.

수산업은 국민 식생활과 직결돼 있는 1차 식품산업이다. 가장 중요한 업무는 국민의 먹을거리인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수산업은 산업적 비중과 어업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사양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수산업 비중은 통계적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0.27%에 불과할 만큼 제대로 성장을 이루지 못했다. 어업 인구도 16만명에 불과해 다른 산업과 비교해 볼 때 아주 취약한 편이다.

수협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수산물 유통까지 포함하여 수산업법상 우리나라 수산인은 70만명에 가깝다고 한다. 이는 통계적으로 파악된 어업 인구 16만명보다 약 4배 더 많은 수치다. 1차 산업인 어업과 양식업 외에도 전ㆍ후방으로 많은 산업들이 수산업과 연계돼 있다.

우선 전방산업으로는 수산물가공업, 냉동냉장창고업, 수산물운수업, 수산물무역업, 수산물중개업, 수산물도소매업 등을 꼽을 수 있다. 후방산업으로는 어선건조와 수리, 어선구성 부품제조와 수리, 선용품, 어망ㆍ어구ㆍ로프, 얼음, 낚시용품, 양식사료, 어상자 제조업, 판매업 등이 존재한다.

이 밖에도 외식산업이나 낚시를 포함한 해양수산 관광 레저에 미치는 산업적 파급 효과까지 감안하면 수산업의 경제적 가치는 아주 광범위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특히 수산자원을 활용한 신소재·고기능성 식품 개발 그리고 해양바이오연료 개발 등 수산생명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풍부한 바닷속 자원을 활용하는 수산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는 앞으로 더욱 빠르게 전개될 것이다.

우리나라도 수산업을 1차 생산 중심인 단순 산업에 머물지 않고 전후방 연관산업을 포함한 `수산산업`으로 산업적 광역화를 추진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수산산업의 산업적 부가가치는 현재 수산업 생산 부가가치보다 최소 10배 이상 더 커질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한발 더 나아가 현재 수산자원이나 어장 확보를 위한 수산업 글로벌화가 추진된다면 수산업의 산업적 규모와 범위는 다른 어떤 산업보다 더 크게 확대될 것이다. 수산업은 전적으로 바다에서만 영위하는 산업이 아니다. 앞으로는 `사업활동 일부만 바다에서 영위하는 산업`이라는 형태로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수산업은 이제 1차·2차·3차 산업이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통합 고차산업인 `6차 수산산업`으로 재정의되어야 한다.

생산산업으로서 수산업, 장비 중심인 후방산업, 서비스 중심인 전방산업 등 3박자를 갖춘 수산산업으로 통합돼 융복합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나가야 한다. 이는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인 `수산의 미래산업화`를 이루기 위한 선결요건이기도 하다.

이 같은 목표를 차질 없이 달성하려면 수산물 생산자 대표단체인 수협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수산산업총연합회(가칭)`를 구성하기를 제안한다.상호 지원하고 협력할 수 있는 단체가 만들어져야 수산산업을 위한 통합적 정책들이 효과적으로 개발될 수 있고 대내외적으로 수산산업 위상이 더욱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EU, 호주, 일본 등 수산업 선진국들은 수산업을 수산생명산업으로 확대하여 역할과 기능, 국가 경제적 위상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 정부도 강력한 정책적 의지를 통해 수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키고 관련 분야에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야 할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