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안전 반드시 챙겨야한다
수산물 안전 반드시 챙겨야한다
  • 김병곤
  • 승인 2011.06.16 17:21
  • 호수 9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먹을거리만큼 소중한건 없을 것이다. 열심으로 먹기는 하지만 밥상의 안전에 대해 그다지 크게 생각하지 않는 게 우리의 일상이다. 그래서 잘못 전달된 내용에 소비자들은 마치 먹어서는 안 될 식품처럼 부산을 떠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낙지머리 파동이 그랬고 해마다 반복되는 비브리오 패혈증 문제가 그렇다.

이러한 확인되지 않는 사실의 피해는 생산자인 어업인과 소비자들에게 고스란히 돌아갈 수밖에 없다. 이른바 웰빙 바람을 타고 수산물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해산물에 대한 일반적인 상식은 여전히 별로 없는 듯하다.

특히 여름철만 되면 우리 수산계는 비브리오 경계령이 발동된다. 전국 횟집들이 문을 닫는 사태가 비일비재 하다. 비브리오는 노약자 등 신체가 약한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식중독일 뿐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할 병증이 아닌데도 언론 등의 과장 보도 때문에 국민들에게 ‘공포의 전염병’으로 잘못 알려지고 있다.

몇 년 전부터 비브리오패혈증을 법정전염병에서 제외시키자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도 법정전염병 3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반드시 법정전염병에서 제외돼야 한다.

때마침 수협이 수산물 안전성에서부터 수산물 소비촉진까지 모든 것을 총괄하는 ‘수산물안전대책반’을 구성했다.

수산물에 대한 잘못된 정보는 전체 수산업계와 어업인을 한순간에 위기로 몰아넣고 비브리오패혈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어패류인 것처럼 잘못 전달돼 이것이 수산물 소비감소로 이어져 어업인들이 이중 삼중고를 겪어 왔기 때문이다. 전례에 없이 언론에 브리핑도 했다. 시의 적절한 대처였다는 여론이다.

수협은 위기가 발생할 경우 어업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수산물 소비촉진도 활성화하는데 운영의 초점을 두고 대책반을 출범했다. 이로써 각 부서간 유기적인 협력과 조기에 사고수습을 위한 역량결집도 가능해졌다.

수산물 식품사고가 발생했거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상황의 심각성과 시급성, 확대가능성,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분석해 긴급대응이 필요한 경우 소집되며 소집 후에는 위기를 관리해 나간다는 것이다.

사고 발생 때는 어업인에게 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피해조사는 물론 수협 계통조직을 이용해 식중독 등의 식품사고에 적극적인 대처와 함께 판매자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품사고 예방에도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뿐만 아니라 여론의 동향을 살펴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사례별로 세분화하고 매뉴얼화해 사고발생 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것이다.

한번 잘못 길들여진 생각은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수협 수산물안전대책반 구성은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쌓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다. 특히 비브리오 패혈증과 같이 소비자들이 오해하고 있는 잘못된 수산물 정보를 바로잡아 나가는 데 반드시 해야 할 일이다.

더구나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수산물 우수성과 안전에 대한 홍보행사들이 줄을 잇고 있다. 이러한 계기를 통해 우리 수산물의 불안전성 불식을 넘어 소비촉진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