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문화적 공유부터 시작하자
수협, 문화적 공유부터 시작하자
  • 김병곤
  • 승인 2011.05.19 11:22
  • 호수 9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앞으로 10년 내에 사람을 달에 착륙시키고 지구로 무사히 돌아오게 하는 목표를 달성 한다”고 발표하자 기술자들과 과학자들은 평상시보다 더 일찍 일터로 나가고 더 늦게 퇴근하기 시작했다 한다. 새로운 목표와 비전이 그들의 문화마저도 바꿔 놓은 것이다. 

최근 모 수산전문지가 조합장과 중앙회와 조합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협이 지속적인 발전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50%이상이 낙관으로 조직의 미래에 희망적이라고 표현했다. 특히 지도경제 통합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MOU 체결에 따른 지도와 회원조합 지원과 관련 기능과 역할에 여전히 많은 불만을 표출했다. 더욱이 수협운동의 나갈 방향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에 협동조합으로서의 정체성 강화를 꼽았다. 

설문조사 결과대로라면 수협은 무궁한 발전을 예약해 놓은 거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구성원들이 서로 신뢰하고 일과 회사에 강한 자부심을 가질 때 보람 있게 일하는 문화가 만들어 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협임직원 스스로도 조직의 정체성(正體性) 회복을 우선으로 꼽았듯이 수협이 추구해야 할 방향은 정체성 회복이다.

사실 정체성은 매우 어려운 단어다. 사전적 의미에서 보면 변하지 않고 존재의 본질을 깨닫는 성질 또는 그 성질을 가진 독립된 존재로 명시돼 있다. 자기다움 정도로 풀이된다. 개성(個性)과도 같다. 자기다움과 개성이 없다면 항상 흔들릴 수밖에 없다.

수협 정체성 논란은 공적자금이 투입되면서 부터다. 조합들도 경영개선이라는 미명하에 정부의 지나친 개입이 불러온 결과로 자기다움을 잃었다.

“협동조합은 경제적 약자들이 공동의 이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조직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경제적 사업체다”고 국제협동조합연맹은 분명하게 협동조합 정체성을 정의 해놓고 있다.

자율성을 해치는 정부 간섭이 수협 정체성 상실을 가져 온 것이다. 물론 공적자금 투입으로 경영이 크게 호전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경제사업 자립과 조합원들 이익이 담보돼야 함에도 이를 뒷받침하지 못했다. 중앙회 경영이익금이 제대로 어촌 지역과 경제사업에 지원되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협동체로서 조직이 문화적 공유가 잘 안되고 있는 측면도 있다.

다행이 지도 경제사업의 통합으로 조직이 다소 생동감을 찾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다. 수협 정체성 회복은 신용사업에 투입된 공적자금 해소가 선행돼야 하겠지만 문화적 공유가 우선돼야 한다. 중앙회와 조합은 물론 중앙회의 사업부문간 임직원들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모색해야한다.

사업부문은 물론 지사무소 직원들도 서로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입장에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몸소 직접 겪은 현상이나 경험들을 우리가 몸이나 머리로서 자기 것으로 만들어 체화(體化)해야 한다.

이제 정체성회복과 자율성 회복에 임직원들과 조합원들이 스스로 나서서 진정한 자기다움을 찾아내야 한다. 분명 수협은 조합원이 주인인 협동체다. 더불어 구성원인 임직원이 주인인 일터다.

구성원 모두가 열정과 자부심을 갖고 서로 배려하며 공동체적인 주인의식으로 가치실현과 비전을 만들어 가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