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바다,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기초생산력 저하 원인 밝혀져
우리바다,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기초생산력 저하 원인 밝혀져
  • 김태형
  • 승인 2023.06.09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과원, 서울대와 공동연구로 우리바다 영양염 감소 경향 확인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 이하 수과원)은 서울대학교와의 공동연구에서, 우리나라 연안 및 외해 영양염 농도가 장기간에 걸쳐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질산염, 인산염 등의 영양염은 육지 식물에서는 비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해양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중요하다. 
따라서, 영양염 농도가 낮으면 기초생산력*을 저하시켜, 해양 먹이사슬 내의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생산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영양염은 해양 생물체의 배설물 및 사체 부스러기의 해저로의 침강과 육상 하천수의 유입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외해보다는 연안이 높고, 수층별로는 깊은 수심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다. 
수과원과 서울대학교 연구진은 수과원과 해양환경공단에서 관측한 최근 27년(1995~2021)동안 우리나라 해역별 표층수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의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외해와 연안 모두 농도가 감소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외해 표층수에서 영양염이 감소한 이유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으로 강화된 성층 현상*에 의해 표층과 저층간의 혼합이 약해져 상대적으로 영양염이 풍부한 저층으로부터의 영양염 공급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확인되었다.
연안의 경우, 성층 강화 현상보다는 육상 영양염 유입량 변화 등 다른 요인으로 인해 영양염 농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실제로 서해와 남해 영양염의 중요한 공급 하천인 금강과 낙동강으로부터 유입되는 질산염 농도는 최근 25년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장기간의 관측 결과를 통해 영양염 농도 변화를 제시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도 많지 않으며, 우리나라 바다 전체를 대상으로는 처음으로 경향성을 제시하여 과학적 의미가 깊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국제학술지 “Marine Pollution Bulletin” (2023.5)에 논문으로 게재되었다. 
표층의 영양염 농도 감소 경향은 이미 전 세계 대양에서도 보고되고 있으며, 향후 감소 경향이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정부간 기후변화 협의체(IPCC)*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농도 시나리오에 따라 전 지구 해양의 표층 상부 100m 수층에서 2100년의 질산염 농도는 현재 대비 평균 0.45~1.00 µM 내외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올해 초, 수과원은 우리나라 해역의 현재 기초생산력이 10년 전에 비해 60%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밝힌 바 있는데, 이번 연구 결과로 우리 바다의 기초생산력 감소 원인이 전 세계 대양과 마찬가지로 해양온난화와 성층 강화 등 기후변화로 인해 저층으로부터의 영양염 공급 제한에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수과원과 서울대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영향을 이해하는 좋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라며, “장기적인 영양염 감소가 해양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고, 관측 결과의 체계적 분석으로 우리 바다에 대한 이해와 대응책 마련에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