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업인이 소망하는 ‘어업인의 날’
어업인이 소망하는 ‘어업인의 날’
  • 이명수
  • 승인 2011.03.17 10:40
  • 호수 8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명수 기자
수협중앙회는 지난해 6월 16일 ‘새로운 10년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한 협동조합의 역할’이란 주제의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국제심포지엄에서 우리 수협이 ‘서울선언’을 채택한 6월 16일을 ‘세계 수협의 날’로 제정 제안한데 대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결국 이 제안이 받아들여지고 회원국들의 절대적인 동의와 호응속에 ‘세계 수협의 날’이 탄생했다. 전 세계 수협의 역량을 결집시키는 일을 해 낸 것이다.

든든한 백그라운드인 어업인과 수산인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다. 어업인과 수산인들이 어업인의 대표단체인 수협을 전폭적으로 지지했기에 국제적인 위상을 드높일 수 있었다.

이 든든한 배경을 갖고 수협중앙회가 어업인들이 갈망하는 ‘어업인의 날’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수협이 중심이 돼 2009년 ‘어업인의 날’ 제정 추진이 본격적으로 촉발되면서 지난해 7월에는 전국 수산단체협의회가 ‘어업인의 날’ 제정을 정부측에 촉구하기에 이르렀다. |

새로 제정할 ‘어업인의 날’은 현장 어업인과 수산단체들의 의견수렴 결과 휴가철 어촌관광과 연계할 수 있는 ‘7월 7일’을 제시하면서다. 7/7이 한자 수(水)의 형상과 비슷하다는 의미도 부여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수협과 수산단체협의회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어업인의 날’이 곧 제정될 듯 싶었다.

하지만 한국농어촌공사가 7월 7일을 ‘도농교류의 날’로 추진하고 나서자 ‘어업인의 날’ 제정에 걸림돌이 생겼고 세월만 죽인 채 해를 넘겼다. 사실상 원점으로 돌아 왔다.

1969년 4월 1일 ‘어민의 날’이후 ‘권농의 날(5월 첫째 화요일), ’농어업인의 날‘(11월 11일), ’바다의 날‘(5월 31일)을 거치면서 숱한 부침을 겪었기에 무산의 아픔이 더했다.  

이 과정에서 기념일로 마땅히 축하받아야 할 어업인이 소외되고 배제됐다. 정치적인 잣대나 행정편의적인 정책에 어업인들만 휘둘려 버린 셈이다.

어업인들의 소망을 담은 ‘어업인의 날’ 제정 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고 있는데 대해 안타까움을 넘어 매우 유감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때마침 정치권에서 ‘어업인의 날’을 법제화하고 나섰다. 다시 희망의 불씨를 지폈다는 게 일단 긍정적이다. 기대도 된다. 법률안의 호불호(好不好)를 떠나 ‘어업인의 날’ 제정이라는 큰 틀에는 공감하고 환영하는 바이다.

다만 ‘어업인의 날’은 그야말로 우리 어업인과 수산인들의 중지를 모아 정해져야 한다는 대전제가 있어야 한다.

이런 까닭에 우리는 지엽적이고 설득력이 떨어지는 날을 ‘어업인의 날’로 지정하는 것은 피해야 할 것이다. 첫 단추를 잘못 꿰면 어업인들이 축하받아야 할 날이 두고두고 후회 막급한 날이 되고 말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이미 어업인들과 수산인들의 뜻이 모아진 날이 있는 만큼 정치권이나 정부 당국이 이를 감안해 ‘어업인의 날’로 정하는 것이 옳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