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21년 어업생산량 전년보다 1.2% 늘어
우리나라 2021년 어업생산량 전년보다 1.2% 늘어
  • 김병곤
  • 승인 2022.02.09 18:43
  • 호수 6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근해·양식·원양·내수면 등 고른 증가로 375만 6000톤

우리나라 2021년 연근해어업, 양식업, 원양어업, 내수면어업 등 어업총생산량이 전년(371만 1000톤) 대비 1.2% 증가한 375만 6000톤을 기록했다. 해양수산부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조업활동에 제약이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연근해, 양식, 원양 등 어업생산 전반에서 고르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 연근해어업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총 94만 1000톤으로 2020년 생산량(93만 2000톤)에 비해 약 1% 증가했으며 최근 5년 평균 생산량(93만 8000톤)에 비해서도 소폭 증가(0.3%)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을 살펴보면 멸치 14만 3000톤(33.8%↓), 고등어 12만 2000톤(57.3%↑), 갈치 6만 3000톤(4.1%↓), 오징어 6만 1000톤(7.5%↑), 꽃게 2만 톤(27.8%↑)을 기록했다. 

대표적인 대중성 어종인 고등어는 대마난류의 세력 강화로 주 어장인 서해 남부, 제주 주변 해역으로 회유하는 자원량이 크게 증가해 평년 수준을 상회하는 어획량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고등어를 주로 잡는 대형선망 어업의 휴어기가 기존 3개월에서 2개월로 줄어들면서 조업일수가 증가한 것도 고등어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꽃게는 2020년 여름 긴 장마로 강수량이 증가해 영양염류, 플랑크톤과 같은 먹이생물이 많아지는 등 어린 개체의 생육조건이 크게 개선돼 개체량이 늘어났고 그 결과 봄 어기(4~6월), 가을 어기(8~11월) 모두 어획량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2021년 가을 연안해역의 수온 상승(전년대비 0.8~1.5℃↑) 영향으로 어군이 연안 측에 오래 머무르면서 예년과 달리 어기가 12월까지 이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오징어는 2021년 봄~여름철 서해안 수온이 평년 대비 0.5~1.5℃ 상승하면서 남쪽에 있던 오징어 어군이 우리 조업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서해의 생산량이 늘어났고 동해안도 오징어 주 조업시기 시작과 함께 북측 수역에 머물던 오징어 어군이 우리 해역으로 진입하면서 어획량이 급격히 증가했다. 다만 11월 이후 북측 수역에 발생한 이상 고수온 현상으로 오징어 어군이 분산되면서 동해안의 어획량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멸치는 가을철 어획되는 어군의 주산란기인 7~8월 기간에 남·서해 연안에 펼쳐진 고수온(평년대비 2~4℃↑)의 영향으로 어린 물고기의 성장이 정체되고 초기 생존율도 낮아져 어군이 순조롭게 형성되지 않았고 결국 생산량 대폭 감소로 이어지게 됐다. 아울러 코로나19에 따른 마른멸치 소비위축과 가격 하락으로 인해 멸치 조업 어선의 출어 일수도 줄어들며 멸치 생산에 악영향을 미쳤다. 

◆ 양식업

2021년 양식업 생산량은 총 233만 30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223만 1000톤)에 비해 4.6%, 전년(230만 8000톤)에 비해 1.1% 증가했다. 

김,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 생산량은 약 178만 톤이었으며 주요 어패류 생산량은 굴 30만 6000톤(1.9%↑), 홍합 6만 4000톤(2.7%↑), 넙치 4만 2000톤(4.6%↓), 전복 2만 3000톤(14.5%↑), 멍게(우렁쉥이) 1만 7000톤(43%↓) 등으로 나타났다. 

2021년 상반기 평년 수준의 생산량을 회복했던 굴은 2021년 하반기에 경상남도 통영시, 고성군 등을 중심으로 폐사가 발생하는 등 생산이 다소 부진했으나 이후 회복세를 보여 2021년 총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전복은 2021년 개체 성장이 예년보다 양호해 생산량이 전년 및 평년 수준을 웃돌았으며 대표적인 어류 양식어종인 넙치(광어)는 입식량 감소로 전년 동기에 비해 생산량이 5% 감소했다. 

멍게의 경우 전년에 발생한 빈산소수괴의 영향으로 2021년 상반기 생산량이 전년 동기간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등 생산이 원활하지 못해 2021년 생산량은 전년 및 평년보다 감소한 1만 7000톤을 기록했다. 

◆ 원양어업 

2021년도 원양어업 생산량은 43만 90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46만 톤)에 비해 4.5% 감소했고 전년(43만 7000톤)에 비해 0.4%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가다랑어 18만 9000톤(10.9%↓), 오징어류 6만 8000톤(79.4%↑), 황다랑어 6만 톤(1.7%↑), 눈다랑어 2만 3000톤(0.9%↓), 명태 2만 7000톤(2.1%↑)으로 확인됐다. 2021년 원양어업 생산량 증가는 오징어류가 견인했다. 오징어는 남서대서양 어장의 어황 호조로 지난해 대비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 평균 생산량 대비 112% 증가했다. 

◆ 내수면어업  

2021년 내수면 생산량은 총 4만 2600톤으로 최근 5년 평균 생산량(3만 5200톤)과 2020년(3만 3900톤)에 비해 각 20.9%, 25.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뱀장어(1만 6000톤, 61.2%↑)와 왕우렁이(0.8만 톤, 32.7%↑) 양식 생산 증가가 내수면 생산량 증가를 견인했다. 특히 뱀장어 생산량은 2020년, 2021년 자연산 실뱀장어가 많이 잡히면서 입식량이 늘어나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2021년 국내 어업생산금액은 9조 2400억 원으로 2020년 8조 7500억 원보다 5.6%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원양어업(1조 3100억 원, 25.8%↑)과 양식업(3조 2600억 원, 12.8%↑)이 전체 어업생산금액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연근해 어업은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부진에 따른 가격 하락이 크게 작용해 전체 생산금액이 감소(4조 1400억 원, 5.1%↓)한 것으로 파악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