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북한수역 중국 불법조업 근절 합의
동해 북한수역 중국 불법조업 근절 합의
  • 이명수
  • 승인 2020.11.11 19:34
  • 호수 56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장단속 위한 한·중 정보공유와 단속 협력체계 구축
한·중어업공동위 타결…내년 우리수역 중국어선 입어척수 50척 감축
6일 끝난 한·중어업공동위에 앞서 2일 개최된 중국어선 동해 북한수역 반대 궐기대회 모습
6일 끝난 한·중어업공동위에 앞서 2일 개최된 중국어선 동해 북한수역 반대 궐기대회 모습

내년 한·중 양국은 배타적경제수역(EEZ)내 상호 1350척 입어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동해 북한수역 불법조업에 대한 현장단속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4일간 제20차 한·중 어업공동위원회 제2차 준비회담 및 본회담을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2021년도 어기 양국어선의 입어 규모 등 어업협상을 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어업협상에서는 2021년도 한·중 배타적경제수역(EEZ)에서의 양국어선 입어규모와 조업조건을 결정하고 동해 북한수역과 서해 북방한계선(NLL)에서의 중국어선 불법조업 근절 대책과 한중 잠정조치수역 내 수산자원관리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이번 회담에 우리 측은 엄기두 해수부 수산정책실장을 수석대표로 외교부·해양경찰청·어업관리단·주중한국대사관·한국수산회 등이 참석했다. 중국 측은 쟝시엔리앙(張顯良) 농업농촌부 어업어정관리국장(실장급)을 수석대표로 외교부·해경국·생태환경부·중국어업협회 등이 참석했다.

◆입어선 50척 감축, 중국 조업조건 강화

내년 양국 배타적경제수역에서 상대국 어선이 조업할 수 있는 입어규모는 올해 1400척에서 50척이 줄어든 1350척으로 최종 합의했다. 2017년 이후 5년 연속 감축기조를 유지했다. 

우리수역에서 중국어선 어획량이 전체의 73%를 차지하고 어획강도가 커서 우리 어업인과 마찰이 가장 많으며 수산자원에 영향을 미치는 쌍끌이 저인망 10척과 유망 32척, 오징어채낚기 8척, 그리고 불법조업을 지원하는 어획물운반선 2척도 감축했다.

특히 주요 어종의 산란·서식장이 집중돼 있는 제주 트롤금지구역선 안쪽 수역의 중국 쌍끌이 저인망 2척도 감축했다.

◆동·서해 중국어선 불법어업 예방 대책

양국은 우리 동해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수역에서의 중국어선 불법조업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 등도 논의했다.

동해를 거쳐 북상한 후 북한수역에서 불법조업을 하고 중국으로 귀항하는 중국어선의 항해정보 등을 우리 해경과 어업관리단이 협업해 중국 측에 제공하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서 대기하던 중국 측 해경정이 해당 어선을 인계받아 조사해 불법어선으로 확인될 경우 중국의 자국 법령에 따라 처벌키로 합의했다. 세부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는 외교경로를 통해 협의하기로 했다.

양측은 서해 NLL 인근 수역 관리감독 강화를 위해 지도단속 역량을 최대한 증강시키고 다양한 방식을 이용해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잠정조치수역 인근 한국측 수역 서측 외곽에 중국 해경정을 상시배치하며 중국의 중앙·지방정부는 공조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 조업질서 유지를 위해 올해 11월과 2021년 상반기에 한·중 잠정조치수역에서 양국 지도단속선이 함께 순시를 실시한다. 2016년 전면 중단됐던 양국 지도단속공무원 간 상대국 단속함정에 승선하는 교차승선도 코로나 19상황을 고려하되 2021년 하반기 실시를 추진키로 합의했다.

◆수산자원관리 합리적 이용 협력 

지속 가능한 어업과 수산자원 공동 관리를 위해 양국 민간단체가 협력해 한·중 잠정조치수역(한·중 어업협정에서 양국이 공동으로 관리하도록 설정된 수역으로 양국 국적 어선이 자국 법령에 따라 조업할 수 있도록 허용된 수역)의 어장청소를 추진키로 했다. 2021년도 양국이 각각 2회씩(한국:3·8월, 중국:5·11월) 자원조사를 실시하기로 했으며 한·중 공동 치어 방류행사를 2021년 한국에서 개최키로 했다.

한편 양국은 한·중 어업협정에 따라 2001년 이후 매년 교대로 한·중 어업공동위원회를 개최해왔다. 그러나 올해는 코로나19 특수상황으로 대면회의가 아닌 영상으로 회의를 진행했다. 중국측 수석대표의 긴급한 사정으로 어업공동위원회 참석이 곤란해 이번에는 양국 국장급 준비회담 대표가 가서명하고 향후 본회담 수석대표가 정식서명을 한 후 외교경로를 통해 합의록을 교환키로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