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근해어업 생산 부진 심각
연근해어업 생산 부진 심각
  • 이명수
  • 승인 2020.02.12 21:30
  • 호수 5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91만4000톤 전년비 9.7%↓…최근 3년 100만톤 붕괴
90만톤도 위협, 수온변화·바다훼손 총체적 영향 대책마련 시급

 

연근해어업 생산량의 부진세가 계속되고 있다. 

2016년 이후 2년연속 100만톤이 붕괴됐다가 2018년 101만3000톤으로 회복 기미를 보였지만 지난해 91만4000톤을 기록하면서 90만톤에 겨우 턱걸이 했다.

이같은 부진은 수온변화, 바다훼손 등 총체적인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따라 향후 어업구조개편, 자원관리 등 종합적인 중장기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통계청이 발표한 어업생산통계자료에 따르면 2019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2018년 101만3000톤에 비해 약 10만톤, 9.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어종별 생산량은 멸치 17만2000톤, 고등어 10만1000톤, 오징어 5만2000톤, 갈치, 전갱이 각각 4만3000톤, 삼치 3만8000톤, 참조기 2만6000톤 등이다.

주요 어종별 증감추이를 살펴보면 전갱이(59%↑, 1만6000톤↑), 가자미류(19%↑, 2900톤↑), 삼치(18%↑, 5800톤↑) 등은 생산량이 증가했다. 멸치, 오징어, 갈치, 참조기, 청어, 꽃게는 전년 수준이다. 반면 고등어(28%↓, 4만톤↓), 붉은대게(22%↓, 4500톤↓)는 감소했다. 

전갱이는 대형선망어선이 고등어 대신 전갱이 어획에 집중하면서 8~10월 제주 근해에서의 생산량이 증가했다. 10월 이후에는 남해와 동해 전 연안에 형성된 높은 수온(평년 대비 0.5~1.5℃)의 영향으로 강원·경북지역 정치망과 연안자망 등에서 생산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자미류는 주어기인 겨울철(1~3월)에 동해 연안으로 회유하는 어군이 증가하면서 울산과 강원지역의 저인망 및 자망어업에서 어획량이 증가했다.

삼치는 겨울철~봄철(1~5월)에 걸쳐 북부 동중국해에 형성된 높은 수온의 영향으로 제주 주변해역에서 월동하는 어군이 늘어나 지난해에 비해 어획량이 증가했다.

최근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는 오징어는 상반기 동해와 서해(여름철)에서의 어황이 호조를 보이며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그러나 주어기인 10월 이후 동해에서의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생산량이 전년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 고등어는 잦은 태풍 등 기상 악화, 7~9월에 주어장인 제주 주변해역과 서해남부해역에 형성된 저수온대(평년대비 1~2℃↓)로 인한 어군 분산 등의 영향으로 전년에 비해 생산량이 감소했다.

2019년 연근해어업 생산금액은 전년(4조1361억원)보다 4.3% 감소한 3조9572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은 전갱이(326억원)가 전년 대비 38%, 삼치(1349억원)가 28% 증가했다. 오징어(3844억원), 꽃게(2216억원), 가자미류(1315억원), 붉은대게(1009억원), 청어(270억원)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 고등어(1299억원)는 17%, 갈치(3026억)는 14%, 참조기(1860억원)는 14%, 멸치(2,832억)는 12%가 감소했다.

조일환 해수부 어업정책과장은 “해양환경 변화와 자원감소 등으로 연근해어업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며 “총허용어획량(TAC) 강화, 연근해어선 감척, 불법어업 단속 등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