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어장 관리, 바다 밑 청소부터 하자
청정어장 관리, 바다 밑 청소부터 하자
  • 이명수
  • 승인 2019.07.10 18:50
  • 호수 49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우경
수산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지난 2019년 6월 동해안 중부에 위치한 강원도 양양군 앞바다 어장 한가운데에서 선박 30척과 크레인 2척이 3일동안 폐통발과 폐어구 등 해양쓰레기 48톤을 끌어올렸다. 수협중앙회 지원으로 회원조합이 자체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폐어구수거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이다. 2017년 기준 강원도 지역 어선은 우리나라 전체 어선척수 6만6736척 중 2770척이다. 비중은 4.2%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 비추어보면 어선척수가 많은 타 지역의 바다밑 어장환경은 더 심각할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2017년 해양쓰레기 관리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바다에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는 연간 17만6000톤이다. 이 중 육상기인 유입량은 11만8000톤, 해상기인 유입량은 5만8000톤에 달한다. 해양쓰레기 총 현존량은 15만2000톤이다. 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쓰레기는 침적쓰레기로 13만8000톤이며 총 현존 쓰레기양의 90.5%에 달한다. 해양쓰레기의 대부분은 바다 밑에 가라앉아 있는 셈이다.
 
최근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수협이 해양쓰레기 수거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2015년에는 전체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6만9000톤에 불과했으나 사업시행 3년 뒤인 2018년에는 12만톤으로 확대되었다. 하지만 바다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양이 수거되는 쓰레기양보다 많기 때문에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눈에 보이지 않는 바다밑 침적쓰레기가 계속 쌓이는 것은 바다어장 관리에 매우 치명적이다.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위해서는 어장 관리 및 유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해양쓰레기, 그 중에서도 바다밑 침적쓰레기부터 청소해야 한다. 해마다 바다어장을 조성하기 위해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2019년 정부의 주요 수산자원 조성 지원 예산만 1040억원에 달한다. 이는 직접 수산자원을 조성하는 치어 및 치패 방류 외에도 인공어초 설치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밑에 가라앉은 폐어구, 폐그물에 의한 즉 유령어업으로 인해 수산자원이 감소한다면 자원조성 사업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한편 정부는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에도 2015년 512억원에서 2018년 762억원에 이르기까지 많은 예산을 투입해 왔다. 자원조성과 해양쓰레기 수거예산을 비교해보면 수산자원 조성에 더 많은 예산이 투입되어 왔다. 자원조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해양쓰레기 수거, 특히 바다밑 어장청소에 집중해야 한다.
 
수협중앙회도 자체적으로 수산종자 방류 지원 사업과 폐어구수거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정부예산에 비하면 적은 예산이지만 어업인들의 소득증대를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앞으로도 폐어구수거활동 지원 비중을 지금보다 더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원도 동해 앞바다에서 폐어구수거활동에 참여한 양양군수협의 임직원들은 어장청소를 하고 난 후에 자원조성이 이루어지면 그 효과는 배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수협중앙회의 폐어구수거활동 사업 단독으로 실시된 시간은 짧지만 누구보다 바다어장을 잘 알고 있는 전국 어업인들이 더 많이 참여하기를 바란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정부와 공동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하다. 가까운 미래에 깨끗한 청정어장에서 더 많은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수확하며 확짝 웃는 어업인의 모습을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