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 3년만에 100만톤 회복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 3년만에 100만톤 회복
  • 수협중앙회
  • 승인 2019.02.13 18:50
  • 호수 47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등어, 참조기 등 생산량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8.8% 늘어
고등어잡이 휴어제 실시 자원 증강 효과…오징어는 감소세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다시 100만톤을 넘어섰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3년만에 100만톤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지난 31일 공표한 어업생산통계에 따르면 2018년 연근해어업 생산량은 총 101만톤으로 2017년 93만톤에 비해 8.8% 증가했다.
 
2016년부터 이어진 어획 부진으로 90만톤 초반에 머물렀던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3년만에 다시 100만톤을 넘어선 것이다.

연근해어업 생산량 추이를 보면 2016년 90만7647톤, 2017년 92만6944톤, 2018년 100만8572톤이며 최근 5년 평균(평년 99만9227톤) 대비 0.9% 증가했다.
 
주요 어종별 증감양상을 살펴보면 고등어(136%), 전갱이류(127%), 참조기(120%) 등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가자미류(109%), 갈치(91%), 꽃게(91%), 멸치(89%), 삼치류(84%)는 전년 수준으로 나타났다. 살오징어(50%), 붉은대게(69%), 청어(74%) 등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
 
고등어, 망치고등어 등 고등어류와 전갱이류의 어획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지난해 이들을 주로 조업하는 대형선망의 휴어기가 확대 실시(1개월→2개월)되고 주 어장인 제주 주변해역에 연중 적정수온이 형성되면서 자원량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참조기의 경우,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어린물고기의 어획비율이 크게 줄어들어 어린 참조기가 많이 성장하고 번식에 참여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이 형성되면서 자원량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참조기 어린물고기 어획비율을 보면 2016년 93.3%에서 2017년 62.1%로 줄어들었다.
 
최근 급격한 어획량 감소로 자원고갈 우려가 커지고 있는 살오징어는 겨울철 동해 저수온과 여름철 황해 고수온의 영향으로 어장 형성이 부진했고 최근 해양환경 변화와 과도한 어획에 따른 자원상태 악화로 어획량이 전년 대비 절반수준으로 감소했다.
 
붉은대게는 연안어업과 근해어업 간의 조업경쟁이 심화되고 암컷과 어린 개체 불법포획에 따른 자원상태 악화로 어획량이 전년 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청어도 주 어장인 동해에서 여름철과 늦가을 출현한 고수온 분포의 영향으로 어군이 분산되면서 전년에 비해 어획량이 감소했다.
 
한편 지난해 연근해 어업생산금액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4조1072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어종별 생산금액은 고등어(1564억원)가 전년 대비 20.2%, 참조기(2151억원)가 9.5%, 전갱이류(236억원)가 8.2% 증가했고 살오징어(3598억원)는 27%, 청어(260억원)는 26.7%, 갈치(3519억원)는 1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완현 해양수산부 수산정책실장은 “최근 3년간 연근해 어업생산량이 감소해 우려스러웠는데 100만톤을 회복하게 돼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100만톤 이상의 어업생산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자원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어업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연근해어업의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