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식백세’ 수산물
‘어식백세’ 수산물
  • 수협중앙회
  • 승인 2018.12.26 20:35
  • 호수 47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난호어명고44

 

수협중앙회는 수산업의 중요성과 함께 수산관련 지식과 정보를 널리 알리는데 노력해 왔다. 이에 지난 2011년부터 ‘수산 지식 나눔 시리즈’를 발간해 오고 있다. 최근 수산경제연구원이 난호어명고(蘭湖魚名考)의 ‘어명고’ 부분을 완역해 발간했다. 이 책은 자산어보, 우해이어보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어보집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난해한 문장을 현대어로 알기 쉽게 변역하기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완역본에는 원문에 대한 설명과 어류의 생태학적, 논리적 오류를 규명하기 위해 평설이란 제목으로 해설을 달았다. 또 평설에서는 표제어가 된 어류가 현재 어떤 이름으로 불리는 지 등을 설명했다. 어명이 밝혀지지 않았던 어종도 기존자료와 중국, 일본 자료와 대조해 가능한 우리 어명을 확인하려 했다. 본지는 완역된 난호어명고를 연재해 과거와 달라진 우리 수산물의 생태와 그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억센가시로 사람을 찌르고 쏘는 두부어(杜父魚)
산골짜기의 시내에 사는 작은 물고기다. 모양은 모래무지와 같지만 작으며 길이는 겨우 2~3치다. 입이 넓고 머리가 크다. 꼬리가 갈라졌으며 비늘이 잘다. 색깔은 누른빛을 띤 검은색이고 아롱진 무늬가 있다.

등마루엔 억센가시가 있어 사람을 찌르고 쏜다. 다닐때는 반드시 무리를 이루고 빠르게 도약하는 것이 나는 듯하다. 사람을 보면 물결을 치면서 소리를 내는데 처음 쫓을 땐 달아나다 급하면 주둥이로 진흙을 파고 들어가 배가 닻을 내리듯 숨는다. 그러므로 일명 선정어라고 한다.

안: 『정자통』에서 『어경』을 인용해 말하기를 “즉어 중에 땅에 붙어사는 것을 경어라고 하는데 다른 이름으로 토부라고 한다”고 했다. 『식물본초』에서는 도부라고 돼 있고 『임해지』에서는 복념어라고 했는데 모두 두부어의 한 이름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진사매어라고 부른다.

◆평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두부어가 볼락, 횟대, 꺽지라고 돼 있고 『재물보』와 『물명고』, 『광재물보』 같은 옛 물명서에도 ‘꺽디’라 기록돼 있다. 그러나 꺽지는 어명고의 묘사와 같이 무리 생활을 하지 않으며 서식처가 돌밭이지 모래밭이 아니다. 게다가 두부어의 설명처럼 ‘꼬리가 갈라지지’ 않고 둥글다. 어명고에 나온 두부어의 모양과 성상이 꺽지일 수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