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제협력 수산업으로 먼저 풀자
남북 경제협력 수산업으로 먼저 풀자
  • 김병곤
  • 승인 2018.09.20 09:53
  • 호수 4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북 정상이 평양에서 만나 회담이 진행되고 있다. 

이 가운데 서해상에서 평화수역과 시범적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에 대해 수산업계와 어업인들은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특히 서해5도 지역과 동해 접경지역 어업인들은 남북합의가 제대로 지켜진다면 더 이상 불안에 떨면서 조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에 반기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이와 관련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리 동서해 어업인들은 늘 안전을 위협받으면서 하루하루 조업하며 살아왔다. 실제로 조업하다 납북된 어업인은 2010년까지 458명에 달한다. 전체 납북자 517명의 88.6%나 차지할 정도로 어업인은 그 동안 북한으로부터의 위험 속에서 살았다. 이 때문에 남북공동어로구역이 지정돼 평화수역으로 조성한다면 이 일대가 남북 긴장을 완화하는 차원에서 어업인들에게 특별한 의미가 된다. 

수협은 판문점 선언이후 남북수산협력에 심혈을 기울려 왔다. 북한 바다를 지키는 것이 우리 바다를 지키는 일이기 때문이다. 수협은 지난 6월 남북수산협력을 전담하는 조직을 신설하고 남북경협 준비에 선제적으로 나섰다. 

남북수산협력단을 신설하고 구체적인 방안으로 △남한 어선의 북한 해역 입어 △수산물 양식어장 개발 △수산물 가공공장 및 냉동창고 설치 △서해5도에 생선시장인 파시(波市) 설치 등을 준비해 나가고 있다.

수협은 과거 남북협력을 준비했던 경험이 있다. 수협은 지난 1999년 북측 민족경제협력연합회와 구소련 어장의 공동 진출방안을 내기도 했다. 또 1998년에는 북한서해 공동조업 방안도 논의했었다. 뿐만 아니라 강원 고성군수협에서 2001년에 북한과의 공동조업 계획을 지자체에 제출하기도 했다. 2007년에는 수협중앙회장이 남북정상회담에 대통령 특별수행원 자격으로 참여했다. 2015년에는 통일준비위원회에 수산자원관리협력 필요성 등을 담은 남북수산협력 방안을 제안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번 평양방문의 특별수행원 명단에 어업을 대표하는 인사는 배제됐다.  일각에서는 수산분야가 어떤 산업보다도 가장 빨리 성과를 낼 분야로 꼽히면서도 뒷전으로 밀렸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공동어로구역의 선결 절차만 해결되면 남한이 보유한 어선세력이 북한 해역으로 즉시 이동해 조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미 수협은 북한수산업의 실태 파악해 오고 있고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교류협력 분야를 발굴해 나가고 있다. 특히 북한 현지 수산업에 사정에 밝은 전문가들을 영입해 대북수산협력을 착실히 준비해 오고 있다.

이렇게 남북수산협력에 대비하고 있고 수산업은 큰돈 들이지 않고 구체적인 성과를 빨리 낼 수 있는 분야인데도 수행자 명단에 관련 단체가 빠져 아쉽다는 여론이다. 
수산업은 북한과의 교류가 매우 쉽다. 남한의 자본과 기술을 북한의 노동력과 어장을 서로 활용하면 된다. 우리가 어선을 비롯해 어구와 유류 등을 제공하고 북한에서는 어장과 어선원을 제공해 합작형태로 조업을 할 수 있다. 또 북한 어선원을 우리의 어선에 승선하는 방안도 있다. 뿐만 아니라 수협은 여러 방법들을 준비해 오고 있다. 

따라서 남북경제 협력에 수산계를 배제하지 말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