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수산협력’ 수협이 이끈다
‘남북수산협력’ 수협이 이끈다
  • 김병곤
  • 승인 2018.06.21 11:48
  • 호수 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만나자 판문점에서”.

1960년 학생들이 통일을 염원하며 외쳤던 통일 구호가 1980년대까지 이어왔다. 이 통일을 향한 외침은 지난 4월 남북 정상들의 만남으로 그 꿈이 일부 실현됐다. 남북 정상들이 손을 붙잡고 판문점을 오가면서 남북 관계가 어려울 수도 있지만 잘 풀릴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지난 12일 북·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합의가 제대로 확실하게 이뤄지면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라는 외침이 현실화될 수 있다. 이제 판문점이 남북이 분단의 과거를 기록한 박물관이 되는 시대가 빨리 오길 기대한다.

남북 평화무드가 조성되면서 이와 때를 같이해 수협중앙회가 남북수산 협력을 주도해 나갈 것을 천명했다. 수협중앙회내에 ‘남북수산협력단’을 신설한 것이다. ‘남북수산협력단’은 외부전문가를 초빙해 남북 수산협력을 전담한다는 것이다. 발 빠른 대처에 138만 수산산업인들은 환영하고 있다. 남북은 지난 4월 27일 ‘판문점 선언’에서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평화수역으로 만들어 군사적 충돌을 막고 안전한 어로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기로 합의했다. 또한 2007년 10·4 남북 선언에서 합의된 사업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북한이 NLL을 판문점 선언 합의문에 명시한 만큼 협상에 대한 낙관적 전망이 커지고 있다.

지금 우리 수산업은 그 어느 때보다도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 특히 중국어선 불법 조업과 북한 수역에 입어한 중국 어선의 싹쓸이 조업은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돼왔다. 우리 어선이 북한 수역에 들어가게 된다면 중국 어선의 남획을 견제하고, 오징어 등 국내 수산물 공급량을 늘리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남북수산협력단을 중심으로 교류사업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현재 한반도가 당면한 수산업의 위기를 남북한이 함께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과거 북한과의 수산협력이 심도 있게 논의되기도 했다. 지난 2015년 수협중앙회는 통일준비위원회에 ‘남북수산협력’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통일부 2001 주요업무 추진계획’에서도 남북 어업협력 추진주체로 수협중앙회를 지정한 바 있다. 수협이 남북협력 추진을 시도한 사례도 있다. 지난 1998년 남측 수협중앙회와 북측 ‘조선민족경제협력연합회’가 합작해 북한 서해에서 공동 조업하는 방안을 추진했었다. 이때 북측은 북측어장 제공과 선원을 투입키로 하고 남측에서는 어선과 어구 및 장비를 제공키로 했었다. 그러나 정부의 관심을 유도하지 못해 북측 협력 상대조차 찾지 못한 채 중단됐다.

현재 남북 수산분야 협력에 대해 정부와 지자체들이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남북 공동어로 등 개별 어업인이 사업의 실질적 주체가 되는 수산협력의 특성상 정부 주도 협력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어업인을 대변하고 추진력 있는 협력 사업 진행을 위해서는 민간 부문에서도 남북 수산협력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조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수협이 남한의 수산계를 대표해 북한과 어업협력을 할 수 있는 창구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우선 북한수역 입어는 물론 북한 양식단지 조성과 수산물 가공공장과 냉동창고 설치 등으로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수협 ‘남북수산협력단’의 착실한 준비를 통해 북한 수역에서 우리 어선이 하루빨리 조업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