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기고] 김임권 수협중앙회장
[매일경제 기고] 김임권 수협중앙회장
  • 수협중앙회
  • 승인 2016.08.18 13:20
  • 호수 3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돈 되는 수산’에서 미래 돌파구 찾아야

해양수산부가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어가경제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어가소득은 4390만원으로 전년(4101만원) 대비 7% 증가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3년 연속 늘어났다.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증가율(1.7%)보다 높은 수치이고 도시근로자 가구 대비 어가소득 비중이 76% 수준으로 어촌과 도시 간 소득격차도 줄어 들었다. 특히 어가소득 증가를 주도한 양식어가의 평균소득은 6139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가구 평균소득 5780만원을 뛰어넘었다. 놀라운 점은 40대 이하의 젊은 어가들은 억대에 육박하는 평균 9264만원의 소득을 올린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돈 되는 수산`을 보여주는 지표인 셈이다.

어가경제가 개선된 것은 양식소득 급증과 함께 정부 수산정책자금 금리가 인하된 덕분이다. 수협 중심의 산지 유통시설 개선과 수산물 가격안정화 정책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무엇보다 해양수산부가 추진 중인 수산업의 미래성장 산업화가 가시적 성과를 내기 시작한 것으로 고무적이다.

하지만 대한민국 수산의 앞길은 아직까지 험고(險固)하다. 지속적인 수산자원 감소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중국 어선 불법조업 등 열악한 여건들이 상존하고 있으며, 어업 종사자를 `뱃놈`이라며 천대하는 사회적 분위기도 여전하다. 이런 풍토에서 수산산업이 제대로 뿌리내리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수밖에 없고 세계가 주목하는 미래 산업으로 육성하기도 어렵다.

일찍부터 세계 각국은 `바다를 지배하는 자가 세계를 지배한다`는 신념 아래 해양력 강화에 앞장서 왔다.
세계 최고 미래학자로 꼽히는 제롬 글렌 밀레니엄 회장은 "머지않은 날에 담수 부족으로 동물과 농작물을 기를 수 없게 될 것이고, 그때는 해조류와 수산물을 고기 대신 먹을 수밖에 없다"는 전망을 내놨다. 영국 BBC는 호주 출신 미래학자 이언 피어슨 말을 인용해 미래 100년 내 현실화될 기술 가운데 하나로 `식량과 에너지를 공급하는 바다 농장`을 꼽았다.

이처럼 미래학자들은 앞으로 산업의 중심 축이 수산산업으로 이동할 것임을 예견하고 있다. 육지보다 4.5배 이상 넓은 바다 영토를 가지고 있는 우리가 귀담아들어야 할 얘기다.

이제 한국 미래의 돌파구를 답답한 육지가 아닌, 활짝 트인 바다에서 찾아야 한다. 그렇다면 이제 바다를 더 이상 `눈물의 씨앗`으로 보지 말아야 한다.

과거 고기를 찾아 헤매고 노동 강도가 극심했던 시절은 끝났다. 바닷속 고기를 탐지하는 어탐기는 조업 효율성을 극대화시켰으며 자동화된 그물작업은 어선원의 일손을 크게 덜어주고 있다.

고등어잡이 선단에 어선원으로 승선하면 대기업 직원 못지않은 연봉을 받을 수 있고 유능한 어로장이라면 연간 10억원 이상의 소득도 올릴 수 있다. 전국에 산재한 2000개에 가까운 어촌계 중에서 평균 호가 소득이 억대 이상인 곳을 찾는 것도 어렵지 않다.

2010년 전남 신안군으로 귀어해 친환경 새우양식으로 연간 수억 원의 소득을 창출하고 있는 전직 공항 보안요원의 사례도 있다. 양식장 한 칸을 임차해 양식을 시작한 그는 국내 최초로 식품안전성 검사를 거친 양식새우를 생산하고 지금은 수출까지 하는 등 어촌에서 꿈을 마음껏 펼치고 있다.

정부가 적극 펼치고 있는 귀어귀촌 성공 사례는 책으로 엮일 정도로 많다. 바다가 시련의 공간이 아니라 기회와 약속의 영역이라는 방증이다. 여기에 최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이 세계 두 번째로 민물장어 완전양식 기술개발에 성공함으로써 민물장어 어업인들이 잔뜩 기대에 부풀어 있다.

이런 미래 블루오션인 바다와 수산을 모르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전히 수산산업의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인식 전환과 함께 수산산업 종사자와 정부의 노력이 뒷받침된다면 미래학자들의 예견대로 수산산업은 머지않아 한국 경제를 지탱하는 새로운 대들보가 될 것이다.

바다는 우리의 미래로, 분명 도전해 볼 만한 곳이다. 수산산업을 어떻게 키워나갈지 범국가적으로 고민하고 이행해야 할 절박한 시점이다.

※이 기고문은 매일경제 8월 13일(토)자 30면에 게재된 내용을 전재한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