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바다의 영양덩어리
조기는 도울 조(助)와 기운 기(氣)를 써서 표기하는데, 이는 말 그대로 사람의 기운을 북돋아주는 생선이란 뜻. 그 살에는 단백질이 많고 어유 또한 사람의 몸에 이로운 것이어서 예로부터 영양식이나 병후에 먹는 음식으로도 유명세를 탔다. 특히, 조상을 모시는 제사상은 물론 온갖 잔칫상에서 언제나 윗자리를 차지할 만큼 대접을 받기도 했다.
참조기는 주로 굴비로 엮어지는데, 그 이름의 유래부터 살펴보자. 고려 인종 때 스스로 임금이 되려고 난을 일으켰던 이자겸.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귀양 당해 왔던 곳이 법성포다. 이곳에서 해풍에 말린 굴비를 맛보고는 그 맛에 반해 ‘자기는 비굴하지 않다’는 뜻을 담아 ‘굴비’라는 이름을 붙여 임금께 진상을 했다던가. 이 때부터 영광굴비란 이름으로 유명세를 탔다고 전해온다.
한편, 요사이 몇 년간 추자도와 가거도 주변 바다에 조기가 대풍을 이루고 있어 사정이 달라졌다지만, 값이 비싼 만큼 밥상 위에서 참조기를 만날 일은 명절 무렵이었다. 살만 떠내 계란 노른자와 녹말가루로 옷을 입혀 노릇하게 지져낸 전이 특히 인기여서 누구 입에 들어갔는지 모르게 접시가 비고는 했다.

칠산어장은 안마도로부터 위로는 비안도에 이르는, 전북의 위도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조기 어장. 영광파시는 철쭉이 필 때, 위도파시는 살구꽃이 필 때가 절정. 이 무렵이면 참조기 떼들이 알을 슬기 위해 개구리 울음소리 같기도 하고 대나무가 바람에 스치는 듯한 소리를 내며 온 바다를 뒤덮곤 했다던가.
이 무렵에 잡아낸 놈은 알이 땡땡한 기름진 참조기. 따로 오가재비로 불리면서 진상품이 되었다는데, 이렇게 잡은 참조기는 한 두름씩 엮어 걸대에 촘촘히 걸고 밖으로는 갯바람에 말리고 또 안으로는 걸대 밑바닥 한가운데에 구덩이를 파고 숯불을 피워 말리는 게 영광의 전통 굴비 건조법.

봄 바다의 영양덩어리로는 단연 참조기가 손꼽힌다.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이런 참조기를 주목해 숭어와 함께 3월의 수산물로 지정을 했다. 입맛을 놓치기 쉬운 이 나른한 봄철에 알이 통통히 밴 황금빛 참조기나 영광굴비 몇 마리를 잘 끓여 찌개로 올리거나, 기름기 자글자글하게 구어 낸 굴비구이 몇 토막을 요리하는데는 손맛까지도 필요 없다. 생선을 싫어하는 아이를 위해서라면 단맛이 많은 ‘조기탕수’같은 요리도 괜찮다. 수협중앙회 수협쇼핑에서 한 달간 최고 15퍼센트까지 할인 판매하는 참조기로 봄철 가족식단 고민을 덜어보자.
참조기 구입안내 수협쇼핑(www.shshopping.co.kr)
02-2240-2582-2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