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연, 어업인 권리 찾는 세력으로 거듭나길
한수연, 어업인 권리 찾는 세력으로 거듭나길
  • 김병곤
  • 승인 2015.10.15 13:26
  • 호수 3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수산업 경영인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14일 울산에서 열 번째로 열린 한국수산업 경영인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수산업 경영인들은 지난 1981년 농어민후계자로 세상에 이름을 알렸다. 농어민 후계자들의 탄생은 전두환 정권에 의해서다. 6,70년대를 거치며 급속한 산업화와 공업화 과정에서 농어촌인구가 급격히 줄어들고 노동력이 고령화되어 영어와 영농후계세대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농어업의 안정과 활력을 도모하고 농어촌 사회의 안정을 위한 인적 기반 확보에 나섰다. 농어촌을 지키고 농어업을 이끌어나갈 후계자가 필요했던 것이다. 그리고 1980년 11월 5일 '농어민후계자육성기금법'을 제정 공포했다. 하지만 후계자들의 지원금은 매우 서글펐다. 전두환 정권은 부정축재환수금 395억원을 투입한 것이다. 이후 농어민후계자 육성기금법 폐지 반대 서명운동의 빌미가 됐던 것이다. 1981년부터 농어민후계자들은 1945명으로 출범했다.

전국농어민후계자협의회가 만들어 지며 농업과 어업인들이 혼재해 있던 차에 어민후계자들은 스스로 독립을 시도했다. 1989년 창립 준비위원회를 발족하고 초대회장으로 姑이신복 씨를 선출하고 전국의 어민후계자 규합에 나섰던 것이다. 그리고 마침내 1991년 사단법인 인가를 받고 전국어민후계자협의회를 결성했다. 이후 1997년 제1회 전국어업인후계자대회를  개최한데 이어 2001년에는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수연)로 명칭을 변경했다.

한수연은 어업인의 사회, 경제, 정치적 권익 향상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수산 현안이 불거질 때 마다 최일선에서 어업인들의 목소리를 냈다. 일본의 독도만행 규탄궐기대회를 열었고 어촌 지도직 지방이양 반대와 농어가부채특별법 제정을 위한 서명 운동을 주도했다. 또 수산업어촌기본법 제정을 촉구했고 한미 FTA 반대와 해양투기중단촉구 결의대회도 열었다. 여기다 수산발전 토론회도 수차례 개최했고 어업인정보화 경진대회도 주관했다.

이들은 이날도 △FTA 체결 대응 수산업 경쟁력 제고 △수산정책금리 인하 △중국어선 불법조업 단속 강화 △친환경 어구 보급·지원확대 △농·어업간 세제지원 형평성 유지 △어업분야 ‘농사용전력’적용대상 확대 △해양오염사고 피해어업인 구제기금 설치 △해양환경훼손개발사업 억제 △어업후계인력 육성 △외국인어선원 공급제도 일원화 등 자신들이 선정한 수산 정책과제를 정부에 전달했다.

한수연 출신들은 지방자치단체장과 기초의원에 진출해 수산 경영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수협조합장에 무려 35명이 진출하기도 했다. 회원은 현재 12개 도연합회, 68개 시·군연합회에 총 2만여 명으로 구성돼 있다. 수산산업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후계자 육성을 위한 정부차원에서의 어업인 후계자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농업과 비교하면 미비한 실정이다. 지난 2013년 기준으로 어업인 경영인육성사업 예산은 400억 원인데 반해 농업은 1160억 원으로 어업은 약 1/3 수준이다. 정부는 이러한 점들을 감안한 확실한 지원책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 어촌은 수산물 수입으로 생산기반이 허물어지고 있다. 이에 따른 상실감과 절망감만이 어촌 사회에 팽배해가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제 한수연과 경영인들도 스스로의 혁신에 나 서고 현실에 적극 대응해 어촌 사회 발전을 위한 구체적 행동을 펼쳐나가야 할 때다.

수산경영인들이 어촌과 어업인들의 정당한 권리를 찾는 세력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